금산 인구감소 가속화, 근본 대책 필요

금산지역의 인구감소 문제가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저출산과 고령화, 타지역 인구유출로 인구절벽이 가속화 되면서 지방소멸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금산군에 따르면 금산지역 인구는 2022년 12월 현재 5만92명으로 집계됐다.

최근 인구 동향을 살펴보면 2018년 5만3222명, 2019년 5만2257명, 2020년 5만1413명, 2021년 5만477명으로 해마다 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인 2012년(5만5715명)과 비교하면 무려 5623명이 줄어든 셈이다.

인구감소 문제는 이미 전국적인 현상으로, 대다수 지역이 겪고 있는 골칫거리지만 초고령화 지역인 금산은 문제의 심각성이 남다르다.

2022년 11월 기준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전체인구의 57.9%(2만9023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33.9%(1만7012명)으로 나타났다.

이대로 가면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를 앞지르는 기현상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2067년에는 생산연령인구는 45.4% 이하, 고령인구는 46.5% 이상, 유소년인구는 8.1% 이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생산연령 인구의 급격한 감소 및 고령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출산 및 전출 현상이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0~59세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2017년 대비 2022년 남 3592명 감소, 여 3119명 감소)하고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빠른 고령화로 60세 이상 인구는 지속적인 증가(2017년 대비 2022년 남 1244명 증가, 여 786명 증가) 추세를 보이며 젊은 인구는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증가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은 인구감소를 가속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출산 연령대 인구 감소, 출생 대비 사망자 증가 등을 꼽는다.

군 관계자는 “주 출산 연령대 여성인구 지속 감소, 비출산 증가, 출생 대비 사망자 증가 등이 감소의 원인”이라며 “청·중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 부족 및 사회 인식 변화, 인접 대도시가 위치해 생활인프라, 교육 등을 이유로 전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선7기 당시 문정우 전 군수는 인구감소 문제 심각성을 인지하고 5만 인구 수성에 노력을 이어갔다.

금산 인구감소 종합대책 수립, 출산지원금 대폭 상향, 다양한 돌봄서비스 지원,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 등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쳤지만 실효성은 미미했다.

바통을 이어받은 박범인 군수의 행보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점이다.

군은 △금산 통합돌봄 복지마을 조성 △어린이집 통학차량 인건비 지원 △결혼축하금, 신혼부부 검진비, 출산지원금 △임산부 등록 및 엽산·철분제 지원, 임산부 요가교실 운영,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지원 △찾아가는 어르신 한글교실 운영 △경로당 운영비 지원 △어르신공동생활의집 기능보강 지원 △미래 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 △청년농업인 정착 지원 등의 대책을 마련해 인구감소에 대응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효과를 보지 못한 문 전 군수의 정책들과 별반 다를 게 없는 모양새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피부에 와 닿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으로 인구감소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주민 A 씨는 “문화 향유 기회 부재와 대형병원, 편의시설 부족으로 타지역을 방문해 이용할 때가 있다”며 “교육·주거문제를 비롯해 기업유치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타지역과 비교되는 삶의 질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협 기자 hikki112@hanmail.ne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